case Computer :

Setting up Git ( Mac OS)

거곰 2011. 5. 17. 09:10

Git 이라는 web Service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.



1 Download Git



2 Install Git

  • git-1.7.x.x-x86_64-leopard.pkg 를 실행 시켜 설치한다.

  • 설치 확인

201105131348.jpg


3 Set Up SSH Keys

3.1 SSH Keys 확인


  • 위 화면과 같이 “No such file or directory” 라고 나온다면 바로 SSH Key생성으로 넘어간다.

  • 만약 기존에 Key가 있다면 기존 Key를 백업후에 삭제한다.



3.2 SSH Key 생성

  • e-mail을 사용해서 Key를 생성한다.

  • Key 저장할 디렉터리 확인

    • enter 시에 기본 디렉터리로 만들어진다.
    • /Users/your_user_directory/.ssh

  • 암호로 입력 ( 입력된 값이 안보이므로 주의 한다.)

    201105131352.jpg

  •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면서 Key 생성이 완료

  • Key 생성 확인

    201105131352.jpg



3.3 GitHub에 생성한 SSH Key 추가하기

  • Account Setting > SSH Public Keys > Add another public Key201105131352.jpg

  • Key 확인하기

    • Key 생성후에 생긴 .ssh/id_rsa.pub 파일을 확인하면 된다.
    • 아래와 같이 방으로 열어도 되며,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해도 가능하다

  • Key 등록

    • 위에서 확인한 Key 전체를 복사해서 붙여넣고 “Add Key”를 누른다.


  • 아래와 같이 추가한 Key를 확인한다.
    201105131354.jpg


  • 접속 확인

    • 반드시 git@github.com 으로 접속해야 한다.
    • 처음 접속시의 암호 입력화면이 나온다.
    • 이때 Key생성시 입력했던 암호를 입력한다.
    • 접속이 되면 “Hi your_name! You’ve Successfully ...”라는 문구 출력
    • 후에 바로 접속이 끊긴다.
       
      201105131354.jpg 201105131354.jpg

  • 재접속시 화면201105131354.jpg

3.4 Set Up Your Info

  • 이름 및 e-mail 설정

  • GitHub token 설정

    • Account Setting > Account Admin > API Token
    • Token 을 복사한다.
      201105131355.jpg


  • 복사한 Token을 사용하여 설정한다.
    201105131355.jpg




4 Create Repostitory

4.1 new Repository 클릭
201105131356.jpg



4.2 정보 입력

  • 기본 정보 입력후 “Create Repository” 클릭201105131356.jpg


4.3 완료 화면




반응형